최근에 흑설탕 버블티로 타피오카펄이 많은 사랑을 받고있어요.
공차가 처음 들어올때 열풍이 불었었는데 이번에 대만의 '타이거슈가'가 홍대에 오픈하면서
다시 열품이 시작되었어요. 쫀득 매력의 타피오카펄을 무엇으로 만들어지는 걸까요?
'카사바'
카사바라는 식물의 알뿌리에서 채취한 녹말을 타피오카(Tapioca)라고 해요. 카사바는 남미 전역에서 재배되는데
브라질 북부지역과 중서부지역이 원산지 입니다.
생긴건 길쭉한 고구마처럼 생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지만 열대지방에서는 중요한 식량 공급원 이라고 해요.
날것에는 독이 있어서 먹기전에 물에 담가두어 독기를 뺀 후 조리를 해요. 이 독은 감자썩보다 더 치명적인 청산계 독이기 때문에 먹기전에 꼭! 독을 빼야합니다. 이 독성을 빼면 알맹이는 요리해 먹고 줄기는 동물의 사료가 되는등 버릴곳이 없는 식물이에요. 하지만 영양학적으로 단백질, 지방은 거의 없고 탄수화물에 치우쳐 있어서 카사바만 주식으로 할 경우엔 영양불균형이 올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외국에선 이 카사바를 감자칩 대신 먹는 경우도 있는데 감자칩보다 칼로리가 낮다고 해요. 그래서 감자칩 대용으로 스낵이나 맥주안주로 먹는데 식감은 감자칩과 비슷하지만 담백한 맛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도 청우식품에서 '유카칩'이라는 과자를 만들었다는데 저는 한번도 본적은 없습니다
무슨맛일지 궁금하네요.
'타피오카'
타피오카는 카사바 뿌리를 말려서 동그란 모양의 전분덩어리로 가공한것을 말해요. 버블티 안에 들어가는 말랑말랑한 덩어리가 타피오카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중화 된것은 제생각에 공차가 들어오면서 인거 같아요. 버블티는 대만의 특산 차 음료에요. 주로 밀크티로 만드는것이 일반적이였는데 갈수록 종류가 다양해져서 생과일즙 베이스나 청량음료로 만들기도 하고 스무디로 만드는 경우도 있어요. 참고로 버블티는 보통 이 펄때문에 버블티라고 불리우는지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특정 버블티를 만들때 '거품'을 내는 과정에서 나온 이름이라고 해요.
'공차' 부터 '타이거슈가까지'
제가 처음 타피오카를 본게 공차였어요.
저는 원래 밀크티를 좋아하는데 밀크티 샵이 들어온다해서 아주 기대를 많이 했었던 기억이 나요.
공차 역시 대만 브랜드인데요. 음료에 여러 토핑을 추가하고, 당도조절까지 할수 있는 아주 특이한 브랜드에요.
공차가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까지만해도 여러 옵션을 조절할 수 있는 음료는 없었거든요.
처음에 주문할때 뭔지 몰라 아주 애를 먹었었고. 거의 기본음료만 먹었었어요.
여담이지만 제가 임신했을때 우리 신랑이 같이 입덧을 했었는데
맨날 공차가 먹고싶다고 노래를 불렀답니다. 생전 밀크티는 입에도 안댔었는데 말이죠.
그래서 사다주면 먹고 소화가 안되서 고생을 했었던...^^
최근에는 흑설탕에 졸여낸 버블티가 열풍이 불면서 그 3대장격인 흑화당 & 더앨리 & 타이거슈가가 인기인데요.
브라운슈가 (흑설탕) 시럽에 타피오카를 특별한 레시피로 만든 펄을 넣어 졸이고
밀크티, 우롱티, 그린티 등과 섞어 마시는 형식이에요.
까맣게 졸여진 펄 시럽과 밀크티가 섞이면서 아주 강렬한 마블을 보여주어
sns에서 인싸템이 되었죠.
그 인기에 힘입어 '차얌' 같은 900원 밀크티가 나오고 있어 올 여름 핫한 음료가 될것 같아요.
소주를 타피오카로 만든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1965년 정부의 식량정책으로 소주 발효에 곡물사용이 금지되면서 증류주가 사라지고 희석식 소주가 나오는데 이때 고구마나 타피오카를 정제해서 만든다고 해요. 최근에는 저렴한 열대작물인 타피오카를 발효시켜 주정을 얻습니다.
주정을 얻는 과정에서 향이 모두 날아가기 때문에 어떤 원재료를 사용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그리고 주류는 다른 식품군과는 다르게 첨가물의 성분을 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주류 표시규정에서 정하는 '표시해야 할 첨가물은 식품위생법에서 명칭과 용도를 표기해야하는 물질로 한다' 는 항목 때문인데 이로 인해 주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모든 성분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네요. 그러니 우리가 남미의 타피오카로 만든 술을 마시고 있었다는건 모를만도 합니다.
타피오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남미인들의 주 식량부터 여름을 책임질 맛난 음료, 그리고 술까지
다방면에 쓰이는 고마운아이네요
댓글